2025년 9월 8일 오늘은 지난 2022년 11월 8일이후 약 3년만에 찾아오는 개기월식으로 일명 "Blood Moon"을 볼 수 있는 날 입니다. 오늘도 오랜만에 오는 추억을 만들어 보세요
1. 개기월식이란 ?
개기월식은 달이 태양-지구-달의 순서로 일직선 상에 놓여, 지구의 그림자에 달이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달이 지구의 짙은 그림자인 본그림자 속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때 달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붉게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 이유는, 태양빛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되는 것이 원인으로 지구 대기가 푸른빛을 흡수하고 붉은빛만 통과시켜 달을 비추기 때문에, 달은 신비로운 붉은색으로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이 현상 때문에 개기월식은 "블러드 문(Blood Moon)" 이라고도 불립니다.
※ 지난 3년간의 개기월식 발생 일자 (한국 기준)
개기월식은 태양-지구-달이 완벽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되어야 하므로 자주 일어나지 않습니다. 최근 3년(2022년 9월 ~ 2025년 9월) 동안 한국에서 관측된 개기월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2년 11월 8일: 약 3년 만에 찾아온 개기월식으로, 날씨가 좋은 지역에서는 전 과정을 선명하게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 2025년 9월 8일: 바로 오늘 발생한 개기월식으로, 역시 전국에서 관측이 가능했습니다.
개기월식의 주기
개기월식 자체는 전 세계적으로 평균적으로 1~2년에 한 번꼴로 발생하지만, 특정 지역에서 관측할 수 있는 주기는 이보다 길어집니다.
우리나라에서 개기월식의 전 과정을 모두 관측할 수 있는 주기는 평균적으로 2~3년 정도입니다.
다음 개기월식은 2026년 3월 3일에 예정되어 있지만, 이때는 월식의 후반부만 관측이 가능합니다. 전 과정을 제대로 볼 수 있는 다음 개기월식은 2029년 1월 1일 새벽에 찾아올 예정이라 합니다.
2. 개기월식의 진행 단계 및 시간
오늘 개기월식은 한국 시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 부분월식 시작 (오후 10시 14분):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기 시작하면서 달의 일부가 서서히 어두워집니다.
- 개기월식 시작 (오후 11시 20분): 달이 본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면서 붉은빛을 띠기 시작합니다.
- 개기월식 최대 (오후 11시 59분): 달이 지구 그림자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하여 가장 붉고 어둡게 보입니다.
- 개기월식 종료 (새벽 12시 38분): 달이 본그림자에서 빠져나오며 다시 밝은 빛을 되찾기 시작합니다.
부분월식 종료 (새벽 1시 45분): 달이 본그림자에서 완전히 벗어나 평소의 보름달 모습으로 돌아옵니다.
3. 지역별 관측 팁 및 준비물
1) 지역별 관측 팁
각 지역별로 달이 뜨는 시간이나 고도가 조금씩 다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경기: 달이 뜨는 시각은 오후 5시 42분입니다. 서울의 높은 건물이나 남산타워 같은 곳에서 보면 더 멋진 풍경을 즐길 수 있습니다.
- 부산/경남: 달이 뜨는 시각은 오후 5시 32분입니다. 해운대나 광안리 같은 해변에서 월출과 월식을 동시에 감상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거예요.
- 대구/경북: 달이 뜨는 시각은 오후 5시 38분입니다. 팔공산이나 앞산 전망대처럼 도시의 불빛을 피해 조금 높은 곳으로 가면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 광주/전남: 달이 뜨는 시각은 오후 5시 38분입니다. 광주 무등산이나 여수 돌산공원에서 바다와 함께 월식을 관측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 대전/충청: 달이 뜨는 시각은 오후 5시 40분입니다. 대전 갑천변이나 계족산 등 개방된 장소에서 관측하기 좋습니다.
2) 준비물 및 관측 방법
① 장소 선정:
도시의 불빛이 적은 개방된 장소가 좋습니다. 공원, 강변, 산 위 등이 좋은 관측 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
② 스마트폰 활용:
월식의 붉은 달을 사진으로 남기고 싶다면, 스마트폰의 야경 모드를 사용하거나 삼각대를 활용해 흔들림을 방지하세요.
③ 날씨 확인:
관측 직전, 해당 지역의 날씨 예보를 꼭 확인하세요. 구름이 많으면 관측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개기월식은 맨눈으로 관측해도 안전합니다. 더 생생하게 보고 싶다면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준비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4. DSLR, 스마트폰으로 개기월식 사진 찍는 법
이 특별한 순간을 사진으로 남기고 싶으시다면 다음 팁들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스마트폰 촬영 팁
① 야간 모드 활용: 스마트폰의 야간 모드를 켜고, 밝기를 조절해 보시기 바랍니다.
② 수동 조작(Pro 모드):
아이폰의 'RAW' 모드나 안드로이드의 '프로(Pro)' 모드를 사용하면 ISO와 셔터 스피드를 직접 조절할 수 있어 더 선명한 사진을 찍으실 수 있습니다.
③ 삼각대 사용: 달이 예상외로 빠르게 움직이니, 삼각대를 사용해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④ 줌 기능 활용: 디지털 줌보다는 광학 줌이 있는 스마트폰이 더 좋습니다.
2) DSLR 촬영 팁
① 렌즈 선택: 달을 크게 담고 싶다면 망원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200mm(최소) : 안정적으로 확대하면 선명한 사진 쵤영 가능
- 400mm : 더 크고 디테일한 달 표면 쵤영 가능
② 수동 모드(M모드): 모든 설정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③ 설정 조절:
- ISO: 100~400 정도로 낮게 설정해 노이즈를 줄입니다.
- 조리개(F값): F8~F11 정도로 조여서 선명도를 높입니다.
- 셔터 스피드: 개기월식은 빛이 약해지므로, 1/100초보다 느리게 설정하셔야 합니다. (삼각대 필수)
- RAW 파일: JPEG 대신 RAW 파일로 촬영하면 후보정 시 더 풍부한 색 정보를 살리실 수 있습니다.
- 삼각대 및 릴리즈: 흔들림 방지를 위해 삼각대와 릴리즈(또는 2초 타이머)를 꼭 사용하세요.
오늘 밤, 이 모든 팁들을 활용하여 개기월식의 아름다움을 사진과 눈으로 모두 담아보시기 바라며 좋은 추억 만드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