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금융소득 2000만원 넘으면 세금 얼마나? (2025년 기준 총정리)
"금융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넘으면 세금이 많이 나온다"라는 말, 많이 들으셨죠?
그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내 상황에는 얼마나 적용되는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2025년 기준으로 아주 쉽게 정리했습니다.
1. 금융소득이란? (이자 + 배당)
세법에서 말하는 금융소득은 이자소득 + 배당소득입니다.
예금/적금 이자, 채권 이자, 채권형 상품 이자, 주식/펀드 배당금 등이 모두 포함돼요.
즉 단순히 "주식 배당만 받은 건데요?"가 아니라, 연간 전체 금융소득이 합쳐서 2,000만원을 넘는지가 핵심입니다.
2. 왜 2,000만원이 기준일까?
연간 금융소득(이자+배당)의 합계가 2,000만원 이하라면 보통은 이미 금융기관에서 원천징수된 15.4%(소득세 14% + 지방세 1.4%)로 과세가 끝납니다. 이것을 분리과세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2,000만원을 초과하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 순간부터 그 해는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로 분류되고, 금융소득을 다른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등)과 합산해서 누진세율을 적용받습니다. 이것이 바로 종합과세입니다.
2,000만원 이하는 분리과세(15.4% 고정)
2,000만원 초과는 종합과세(최대 약 49.5%까지 갈 수 있음)
3. 종합과세 세율은 얼마나 나오나?
종합과세에 들어가면 세율은 '내 총소득 구간'에 따라 결정됩니다. 금융소득만 따로 떼서 과세하는 게 아니라 다른 소득과 합쳐서 같은 구간 세율을 적용받는다는 점이 포인트예요.
| 과세표준 (종합소득 구간) | 세율(소득세) | 지방소득세 포함 실질 |
|---|---|---|
| 1,200만원 이하 | 6% | 약 6.6% |
| 1,200만원 ~ 4,600만원 | 15% | 약 16.5% |
| 4,600만원 ~ 8,800만원 | 24% | 약 26.4% |
| 8,800만원 ~ 1억5천만원 | 35% | 약 38.5% |
| 1억5천만원 ~ 3억원 | 38% | 약 41.8% |
| 3억원 초과 | 45% | 약 49.5% |
즉 기본 근로소득이 이미 높은 사람이 금융소득까지 2,000만원을 넘어가면, 그 초과분은 위의 높은 세율 구간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 예시로 계산해볼까요?
- 근로소득: 5,000만원
- 금융소득(이자+배당): 3,000만원
이 경우 금융소득 전체 3,000만원이 다 과세되는 게 아니라, 2,000만원 초과분인 1,000만원이 종합과세 구간에 합산됩니다. 그리고 그 합산된 총소득(5,000만+3,000만 등)에 맞는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결론적으로, 상당히 높은 세율을 맞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4. 꼭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 개인 단위 과세입니다. 부부 합산 아님.
- 국내 금융소득뿐 아니라 해외 배당/해외 이자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증권사/은행이 자동으로 신고 끝내주는 게 아니라, 내가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5. 결론 (중요해요)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순간부터 세금은 '자동'이 아니라 '전략'입니다.
지금 단계에서 할 일은 단순합니다.
- 내 올해 이자/배당 예상액 합계가 2,000만원을 넘는지 체크
- 넘을 것 같다면 분산, 시기조절, 절세상품 활용 계획 세우기
- 이미 넘었다면 종합과세 세율 구간을 기준으로 세부담 시뮬레이션 해보기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분리과세 vs 종합과세 비교 (0) | 2025.10.30 |
|---|---|
| 금융소득 종합과세 피하는 합법적 절세법 (0) | 2025.10.30 |
| 근로장려금 기한후신청 임박 (0) | 2025.10.27 |
| MacBook Air·Pro·mini, 정가보다 30만원 싸게 사는 법🔥 (0) | 2025.10.25 |
| 상생페이백신청 시기 임박! 늦기 전에 꼭 해야 할 꿀팁 5가지 (0) | 2025.10.17 |